한약명 | 백굴채 |
다른이름 | 소야, 단장초, 지황련, 토황련, 젖풀, 우금화 |
분포지 | 전국의 산과 들 |
개화시기 | 5~8월 노란색 |
채취시기 | 5~8월 개화기 |
▶ 형태
줄기는 연하고 곧게 서고 등황색의 유액을 함유, 애기똥풀은 양귀비과의 두해살이로 꽃은 5~8월에 노란색으 로 피고, 열매는 개화기에 삭과로 여문다.
▶ 상징
애기똥풀은 줄기에 상처를 내면 등황색의 유황의 유액이 애기의 배내똥과 같다 하여 '애기똥풀'이라 부른다.
▶ 채취
1. 전초, 뿌리,
2. 봄에 꽃이 피기 전에 채취하여 그늘에, 뿌리는 여름에 캐서 햇볕에 말려서 쓴다.
▶ 효소 만들기
봄에 전초를 채취하여 물로 씻고 물기를 뺀 다음 항아리에 넣고 황설탕으로 만든 시럽이나 황설탕 50%를 넣고 밀봉하여 100일 동안 발효시킨 후 3개월~1년 이상 숙성시킨 후 효소 1에 생수 5를 희석 해서 먹는다.
▶ 식용
봄에 어린잎을 따서 물에 담가 독성을 충분히 제거한 후에 끓는 물에 살짝 데쳐서 나물로 무쳐 먹는다.
▶ 이용 및 효능
1. 한방에서 전초를 백굴채(白屈菜), 뿌리를 백굴채근이라 부른다. 위(胃)를 다스리는 데 다른 약재와 처방한다.
2. 민간에서 전초를 짓찧어 뱀, 독충, 벌레에 물렸을 때, 옴이나 종기가 났을 때, 옻에 올랐을 때 환부에 바른다.
3. 위장염, 위궤양으로 인한 복부 통증 · 이질·간염· 피부 궤양 · 결핵 · 옴·버짐 · 이뇨
▶ 약리 작용
진경 작용·진통 작용 · 항균 작용.
약용식물의 부위에 설탕을 재어 두면 삼투압 작용(透壓作用)에 의해 혈액과 같은 수액이 먼저 빠져 나온다. 설탕에 들어 있는 효모와 미생물, 약용 식물 부위에 붙어 있는 야생 미생물들과 공 기 중의 미생물들이 당을 먹이로 증식한다. 식물이 가지고 있는 성분과 수액을 통해 정수를 뽑 아낸 효소는 고유한 맛과 향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어 인체에 소화·흡수·배설을 돕는다.
'한반도 약초 > 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반도약초] 할미꽃 - 효능 및 약효, 채취시기, 효소만들기 (0) | 2022.11.14 |
---|---|
[한반도약초] 양지꽃(치자연) - 효능 및 약효, 채취시기, 효소만들기 (0) | 2022.11.14 |
[한반도약초] 씀바귀 - 효능 및 약효, 효소만들기, 채취시기 (0) | 2022.11.14 |
[한반도약초] 쇠비름 - 효능 및 약효, 채취시기, 효소만들기 (0) | 2022.11.14 |
[한반도약초] 쇠무릎(우슬) - 효능 및 약효, 효소, 조청만들기, 채취시기 (0) | 2022.11.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