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한약명 | 백두옹 |
다른이름 | 야장인, 주지화, 백두공, 호왕사자 |
분포지 | 중부 이남의 산 밑과 들 |
개화시기 | 4~5월 검붉은 자주색 |
채취시기 | 가을~봄 개화 전 |
▶ 형태
전체에 긴 털이 밀생, 근생엽은 밀생, 꽃받침은 6장, 겉면에 긴 솜털이 밀생, 할미꽃은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로 꽃은 4~5월에 길이 3cm 정도로 검붉은 자주색으로 갈래꽃 긴 종형 밑으로 향해 피고, 열매는 달걀 모양의 수과로 여문다.
▶ 상징
할미꽃은 할머니의 하얀 머리카락과 같다 하여 '백두옹’ 으로 부른다.
▶ 채취
1. 뿌리.
2. 봄에 꽃이 피기 전에 뿌리를 캐서 햇볕에서 말려서 쓴다.
▶ 효소 만들기
봄에 백두옹 전체를 채취하여 물에 씻고 물기를 뺀 다음 항아리에 넣고 황설탕으로 만든 시럽이나 황설탕 30%를 넣고 밀봉하여 100 동안 발효시킨 후에 3개월~1년 동안 숙성시킨 후에 효소 1에 생수 5를 희석해서 먹는다.
▶ 금기
식물 전체에 독성이 있어 나물로 먹으면 안 된다.
▶ 이용 및 효능
1. 한방에서 뿌리를 백두옹(白頭翁)이라 부른다. 장염을 다스리는 데 다른 약재와 처방한다.
2. 장염 · 설사 · 신경통 · 혈리 · 치질 출혈 · 월경곤란 · 임파선염 · 수렴·이질.
▶ 약리작용
항암작용 · 항균 작용.
발효(發酵) _ 효모에 의해 효모류나 유산균류 등의 미생물이 유기 화합물과 당을 분해하여 알코올과 탄산가스가 발생하게 하여 효소를 발하는 것으로 발효를 통해 미생물인 효모 · 곰팡이 · 세균이 번식해서 각각 특유의 효소를 만들어 낸다. 발효식품들은 유산균 · 효모균 · 비피더스균 등 사람에게 유익한 균을 배양시켜 체내에 흡수되어 몸의 신진대사를 돕는다.
728x90
반응형
'한반도 약초 > 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반도약초] 참취(나물취) - 효능 및 이용, 채취시기, 약리작용 (1) | 2022.11.15 |
---|---|
[한반도약초] 차전자(질경이) - 효능 및 약효, 장아찌, 효소만들기, 채취시기 (0) | 2022.11.14 |
[한반도약초] 양지꽃(치자연) - 효능 및 약효, 채취시기, 효소만들기 (0) | 2022.11.14 |
[한반도약초] 애기똥풀 - 효능 및 약효, 효소만들기, 채취시기 (1) | 2022.11.14 |
[한반도약초] 씀바귀 - 효능 및 약효, 효소만들기, 채취시기 (0) | 2022.11.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