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 약초/봄

[한반도약초] 삼백초 - 효능 및 이용, 효소만들기, 약리작용

by 한반도 뽀빠이 2022. 11. 13.
728x90

삼백초

한약명 백화
다른이름 삼백초근, 전삼백, 오로백, 백화연, 백설골
분포지 제주도 협제 근처의 습지와 울릉도
개화시기 5~6월 흰색
채취시기 여름~가을

삼백초 꽃, 뿌리

▶형태  

삼백초는 삼백초과의 여러해살이로 잎은 호생하며 난형이고 밑은 심장형, 화서 밑의 2~3개 잎은 보통 초여름에 백색으로 변한다. 꽃은 6~8월에 꽃잎이 없는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8월부터 둥근 장과로 여문다. 씨앗에 실이 한 개씩 들어 있다.

▶상징

삼백초의 뿌리와 줄기는 흰색이다. 꽃이 필 무렵에 잎 세 개가 흰색이고 잎과 줄기와 뿌리가 흰색이기 때문에 '삼백초'로 부른다.

▶채취

1. 전초, 뿌리. 

2. 봄에 전초를 그늘에, 여름에 지상부와 뿌리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쓴다.

▶ 효소 만들기 

봄에 전초를 뜯어 항아리에 넣고 황설탕으로 만든 시럽이나 황설탕 50%를 넣고 밀봉하여 100일 동안 발효를 시킨 후에 3개월~1년 이상 숙성시켜 효소 1에 생수 5를 희석하여 먹는다.

▶ 식용 

봄~ 여름에 부드러운 잎을 뜯어 쌈으로 먹거나 끓은 물에 살짝 데쳐서 나물로 먹는다.

▶ 이용 및 효능

 1. 한방에서 지상부를 삼백초, 뿌리를 삼백초근이라 부른다. 전체 또는 뿌리를 다른 약재와 처방한다. 

2. 민간에서 삼백초 달인 물로 여성의 백대하에 쓰고, 욕탕에 풀어 냉증에 쓰고, 생잎을 짓찧어 뱀에 물렸을때 독이 더 이상 퍼지는 것을 막는 데 쓴다. 

3. 각기 · 풍독 · 이뇨·수종·임질·간염· 고혈압·부종·대하

▶ 약리 작용

항암작용, 해독 작용

삼백초, 뿌리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