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명 | 곡기생 |
다른이름 | 동청, 곡기생(참나무), 상기생(뽕나무), 기생초, 황금가지 |
분포지 | 전국 산 속 |
개화시기 | 2~3월 연한 황색 |
채취시기 | 10월 |
▶ 형태
가지는 황록색으로 차상으로 많이 갈라져서 둥지같이 둥글게 자란다. 큰 것은 지름 1m 정도, 잎은 마주나고, 겨우살이는 겨우살이과의 늘 푸른 떨기나무로 다른 나무의 살아 있는 가지로부터 생명을 영위하는 기생목으로 꽃은 2~3월에 암수 다른 그루로 노랗게 피고, 열매는 10월에 둥근 연한 황색으로 여문다.
▶ 상징
우리 조상은 겨우살이가 공중에서 나무에 의지하고 푸름을 잃지 않고 겨울을 겨우겨우 살아가므로 겨우살이' 라는 애칭이 있고, 겨우살이를 겨울에 채취하여 음지에 말리면 황금색으로 변하기 때문에 '황금가지’, 겨우살이는 소나무처럼 푸르름을 간직하기 때문에 예부터 '동청'이라 부른다.
▶ 약초 만들기
1. 줄기, 잎
2. 이른 봄과 겨울에 줄기와 잎을 채취하여 햇볕에말려서 쓴다.
3. 겨우살이를 채취할 때는 긴 장대를 이용한다. 참나무에 기생하는 겨우살이는 열매가 맺는 11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채취한 것을 약재로 쓴다.
▶ 효소 만들기
겨울에 겨우살이를 통째로 따서 황금색이 될 때까 지 햇볕에서 말려서 항아리에 넣고 황설탕으로 만든 시럽이나 황설탕 30%를 재어 밀봉하여 100일 동안 발효시킨 후에 3개월~1년 이상 숙성시킨 후 효소 1에 생수 5를 희석해서 먹는다.
▶ 식용
겨우살이는 독성이 없기 때문에 반드시 황금색으로 변한 것을 끓는 물이 섭씨 80도 물에 담가 우려 내어 먹는다.
▶ 이용 및 효능
1. 한방에서 겨우살이라 부른다. 암(癌)을 다스리는 데 다른 약재와 처방한다.
2. 암 ·고혈압·간염·요통·신경통·근육통·진통·소염·지혈·동맥 경화 · 불면증
▶ 약리 작용
항암 작용 · 혈압강하 · 이뇨작용 · 항균 작용
유럽에서는 1,926년부터 임상 실험을 거쳐 1,980년대 이후 만병통치약으로인식되어 최근 항암 효과가 뛰어나 각종 암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암환자에게 희망을 주고 있다. 중국과 유럽에서 동물 실험에서 겨우살이 추출물을 흰쥐에게 투여하여 70% 이상 암세포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을 밝혔다. 미숙성 효소나 불량 효소에는 침전물이나 뜸팡이가 생길 수 있다. 뜸팡이가 생겼을 때는 황설탕을 넣고 젓는다. 솔순 효소에는 솔향기가 나야 하듯이 약용 식물의 고유한 맛과 향긋한 맛이 아닌 너무 신맛이 날 때는 설탕을 넣고 저으면 된다.
'한반도 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반도나무] 모과나무 - 효능 및 이용, 채취시기, 효소만들기 (0) | 2022.11.05 |
---|---|
[한반도나무] 생강나무 - 효능 및 이용, 채취, 약효이야기 (1) | 2022.11.05 |
[한반도나무] 상수리나무(도토리) - 효능 및 이용, 채취시기 (0) | 2022.11.04 |
[한반도나무] 호두나무 - 효능 및 이용, 약리 작용 (0) | 2022.11.04 |
[한반도나무] 잣나무 - 효능 및 이용, 효소 만들기 (1) | 2022.1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