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133

[한반도약초] 오갈피나무 - 효능 및 이용, 약용이야기 『본조강목』에서 “한 줌의 오가피를 얻으니 한 마차의 금은보화보다 낫다” 고 할 정도로 약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려 시대 때는 오가피를 고려 인삼으로 추정할 수 있고, 고려 시대 『한림별곡』과 조선 시대 홍만선의 『산림경제』 등에서 식용과 약용으로 이용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볼 때 예로부터 약초로써 약효를 인정받고 있다. 최근 웰빙 시대를 맞이하여 건강이 최대 화두로 떠오르며 건강식품과 약초로 각광을 받고 있는 오가피는 나무 인삼 이란 애칭을 가지고 있다. 오가피는 2002년 월드컵 4강 신화를 이룩한 태극 천사들이 스태미나(stamina)를 강화하기 위하여 상복하였고, 구 소련의 약리학자에 의하면 오가피가 산삼과 인삼을 능가한다는 실험 결과를 발표하여 주목을 바안고, 현재 오가피 추출물.. 2022. 10. 31.
[한반도약초] 구기자 - 효능 및 이용, 약용 이야기 중국 의서에서 구기자를 매일 상복하면 병약자가 건강해지고 정력이 증강되고 불로장수의 선약(仙藥)으로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늙지 않게 한다 하여 각로(却老)로 부른다. 구기자는 변조된 신체의 원기를 회복시켜 주고 정기를 북돋아 주는 대표적인 자양, 강장제로 알려져 있다. 구기자는 봄에 나오는 잎은 천정초, 여름꽃은 장생초, 겨울의 뿌리는 지골피로 구분한다. 구기자잎은 하늘의 정기가 풍부하여 주로 강장제 · 위장병 · 저혈압에 좋고, 열매는 비타민 A·B·B·C를 비롯하여 칼슘·인·철·단백질 · 미네랄 등이 함유되어 있다. 구기자는 최근 임상 실험에서 혈전을 용해하여 피를 맑게 하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떨어트리는 것은 밝혀졌다. 효능 및 이용 구기자의 잎 · 열매 · 뿌리를 모두 식용과 약용으로 쓴다. 부작용.. 2022. 10. 30.
[한반도약초] 복분자 - 효능 및 이용, 약용식물 이야기 복분자는 2000년 ASEM, 2005년 APEC 정상회의, 노벨평화상 수상자 정상회의, 청와대 행사 때마다 만찬주로 선정이 될 정도로 한국 전통 와인의 맛과 향을 알리는 건강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전통 의서에서 산딸기인 복분자를 '성인이 먹으면 오줌줄기가 세어져 요강이 엎어진다 하여 엎어질 복과 요강 분이라는 이름이 붙여져 복분자로 부른다. 복분자는 바다의 해풍을 맞으며 자라야 효능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북 고창에서 유기농법으로 생산되는 복분자가 지금은 전국적으로 웰빙의 붐을 타고 재배지가 확대되고 있다. 고창 선운사 앞 하천에서 잡히는 풍천장어와 함께 먹으면 성호르몬을 활성화시켜 주기 때문에 성 기능을 강화하고 정력과 스태미나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효능 및 이용 보분자에는 인체의 유해.. 2022. 10. 30.
[한반도약초] 오미자 - 효능 및 이용, 약용식물 이야기 최근 오미자의 효능이 속속 알려지면서 건강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오미자는 신맛 · 단맛 · 짠맛 · 매운맛 · 쓴맛 등 5가지 맛이 있어 '오미자' 로 부른다. 열매는 신맛, 껍질은 단맛, 과육은 신맛, 씨는 매운 맛과 쓴맛 짠맛인 오행(五行)의 맛이 있기 때문에 인체의 오장 육부에 좋다. 오미자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2속 3종인 '오미자 · 남오미자 · 흑오미자' 가 자생하고 있다. 목련과의 갈잎덩굴나무로 주위 나무나 기댈 만한 것을 올라타기 때문에 산의 숲속에서 볼 수 있지만, 흑오미자는 남해안 섬 일부와 제주도에서만 자생한다. 외국인이 한국을 방문했을 때 가장 선호할 정도로 최고급 차로 대접받고 있다. 전국의 오미자 생산의 45%를 차지하는 경북 문경시는 2,006년 오미자산업특구로 지정된 이후.. 2022. 10. 30.
[한반도약초] 삼지구엽초 - 효능 및 이용, 약용식물 이야기 우리의 산야(山野)에는 수많은 약용 식물과 산야초가 있지만 자생지가 드러나면 약초꾼들에 의해서 수난을 당하는 약초가 바로 삼지구엽초(三枝九葉草)이다. 중국 고서 명나라 때 『삼재도회(三才圖會)』에 의하면 숫양한 마리가 삼지구엽초를 먹고 암양 100마리와 교배했다고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산의 정기가 담겨 있는 약초이다. 『동의보감』에서 삼자구 "허리와 무릎이 쑤시는 것을 보(補)하며 양기가 부족하여 발기되지 않은 남자, 음기(陰氣)가 부족하여 아이를 낳지 못하는 여자, 망령한 노인, 건망증과 음위증이 있는 중년들에게 좋다” 고 쓰여 있을 정도동 뛰어난 약초로 기록되어 있다. 고전 의서에는 노인이 삼지구엽초를 상복하고 정력을 참지 못해 지팡이를 내졌다 하여 방창초 또는 뿌리에 음낭처럼 생긴 것이 매달려 있어.. 2022. 10. 27.
[한반도약초] 하수오 - 효능 및 이용, 약용식물 이야기 중국에서 하수오 · 인삼 · 구기자를 3대 약초로 꼽는다. 『향약집성방』의 신선방에서 하 수오를 먹고 신선(神仙)이 되는 방법을 논할 정도로 하수오(何首烏)'라는 사람이 이 약초를 달여 먹고 흰머리가 검게 되고 160살까지 살았다는 장수의 묘약으로 알려져 있다. 예부터 큰 하수오 뿌리를 먹고 수백 년을 살았고, 하수오가 오래 묵으면 어린 소년으로 변신하고 신선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구전심수로 전해 지고 있어 산삼과 함께 영약으로 본다. 『동의보감』에서 “하수오를 오래 복용하면 수염과 머리카락이 검어지고 정력이 강해져서 골수가 불로장생한다” 고 할 정도로 독성이 전혀 없는 생약으로 피를 맑게 하고 원기를 회복하여 회춘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약리 실험에서 강심작용, 장 운동 강화 작용, 장.. 2022. 10. 27.
[한반도약초] 복분자 - 효능 및 이용, 채취시기, 약리작용, 효소만들기 한약명 복분자(覆盆子) 다른이름 산딸기 · 곰딸 · 복분자딸기 분포지 중부 남부 지방 이남 산기슭 초장 1.5m 생육상 갈잎떨기나무 개화시기 5~6월 연한 분홍색 채취시기 7~8월 ▶형태 잎은 깃 모양의 겹잎, 줄기는 자줏빛이 돌며 갈고리 같은 가시가 있다. 복분자딸기는 장미과의 갈잎떨기나무로 높이 는 3m 정도까지 자라고 굽은 가지에 가시가 촘촘히 돋고, 꽃은 5~6월에 연한 분홍색으로 피고 열매는 7~8월에 둥글고 적색으로 익지만 나중에는 흑색으로 여문다. 전통 의서에서 산딸기인 복분자를 '성인이 먹으면 오줌줄기가 세어져 요강이 엎어진다' 하여 엎어질 복(復)과 요강 분 (益)' 이 합쳐 복분자(覆盆子)라 부른다. 고창 선운사 앞 하천에서 잡히는 자연산 풍천장어와 함께 먹으면 좋다. ▶ 채취 1. 꽃.. 2022. 10. 26.
[한반도약초] 블루베리 - 효능 및 이용, 효소만들기, 약리작용 학명 Vaccinium 외국명 blueberry 다른이름 이부시블루베리(hiohbush blueberry) , 로부시블루베리(Lowbush blueberry), 크랜베리(cranberry) 분포지 중부이남 산지와 들 초장 30cm~5m 생육상 여러해살이 개화시기 4~5월(흰색) 채취시기 여름~가을 ▶형태 블루베리는 진달래과의 여러 해 살이로 꽃은 4~5월에 작은 종 모양의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여름부터 가을까지 구형으로 표면에 회백색으로 덮고 진한 흑청색으로 여문다. ▶ 채취 1. 열매 2. 여름부터 가을까지 열매를 따서 햇볕에 말려서 쓴다. ▶ 효소 만들기 여름~가을까지 진한 흑청색으로 잘 익은 성숙된 열매를 따서 항아리에 넣고 황설탕으로 만든 시럽이 나 황설탕 50%를 넣고 밀봉하여 100일 동안 발.. 2022. 10. 24.
[한반도약초] 오미자 - 효능 및 이용, 효소만들기, 약리작용 한약명 오미자(五味子) 다른이름 문합 · 현급 · 북미 · 금령자 홍대소 · 오매자 · 북오미자 분포지 중부 지방 산지의 경사면, 남부 지방과 섬(남오미자), 제주도(흑오미자) 초장 5~8m 생육상 여러해살이 개화기시 6~7월 황백색 채취시기 9월 ▶형태 오미자는 목련과의 여러해살이로 꽃은 6~7월에 붉은빛이 도는 황백색으로 피고, 열 매는 9월에 작은 입자의 작은 구형으로 20~30개 낱알이 한 송이에 장과로 여문다. ▶ 채취 1. 잎·줄기 · 열매 · 뿌리. 2. 여름에 잎과 줄기를 채취하여 그늘에, 가을~겨울에 성숙된 잘 익은 열매를 따서, 뿌리를 캐어 햇볕에 말려서 쓴다. ▶ 효소 만들기 1. 붉은색으로 성숙된 열매를 항아리에 넣고 황설탕으로 만든 시럽이나 황설탕 100%를 항아리에 재 어 밀봉하.. 2022. 10. 24.
[한반도약초] 가시오갈피(오가피) - 효능 및 이용, 채취시기, 효소만들기 한약명 오가피, 자오가근 다른이름 자오가, 가시오가피 분포지 전국의 깊은 산 초장 3~5m 생육상 갈잎떨기나무 개화시기 4 월, 자황색 채취시기 4월(새순) · 10월(열매) 수시(뿌리) ▶ 형태 가시오갈피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갈잎떨기나무로 높이는 약 3~4m 정도까지 자라고, 가지에 가시가 있고, 꽃은 가지 끝에 산형 화서로 4월에 자황색으로 작은 꽃들이 공처럼 꽃이 꽃자루가 갈라지는 곳에 꿀샘이 있다. 열매는 핵과 장과 둥근 모양으로 10월에 콩알만 한 작은 구형이 검은색으로 여문다. ▶ 채취 1. 꽃·잎·줄기 · 열매 · 뿌리 2. 봄에 전초, 가을에 열매, 줄기는 수시, 뿌리를 캐어 물로 씻고 햇볕에 말려서 쓴다. ▶ 효소 만들기 봄에 전초를 채취하고, 가을에 검은색으 로 익은 열매를 따서 항아.. 2022. 10. 24.
[한반도나무] 뽕나무(오디) - 효능 및 이용, 약리작용, 채취시기, 장아찌, 효소 만들기 한약명 상근피(桑根皮) · 상백피(桑白皮) 다른이름 백상 · 오디나무 · 뽕 · 오디 · 상토 · 상목 분포지 전국의 야산 초장 3~4m 생육상 갈잎큰키나무 개화시기 4~6월, 황록색 채취시기 6~7월 ▶형태 수꽃 이삭은 햇가지 밑부분의 잎 겨드랑이에 밑으로 처져 달리고 암꽃 이삭은 길이 5~10mm이고 암술머리는 2개, 자방에 털이 없다. 뽕나무는 뽕나무과의 갈잎큰키나무로 꽃은 암수 다른 그루로 6월에 황록색으로 피고, 열매인 오디는 6~7월에 집합과로긴 구형의 흑색으로 여문다. 뽕나무는 '임도 보고 뽕도 딴다'는 남녀의 애정관계를 논할 때 등장하는 나무이다. 천충을 먹이는 뽕잎은 천약이며, 뽕나무는 천목이 된다. 누에는 뽕잎을 먹고사는 실을 토하는 많은 곤충 중에서 사람의 생활에 가장 유리 대표적인 .. 2022. 10. 22.
[한반도약초] 지치(자초) - 효능 및 이용, 약리작용, 채취, 효소만들기 한약명 자초(紫草) 다른이름 칙금잔 · 촉기근 분포지 전국의 들과 길가 초장 2m 정도 생육상 여러해살이 개화시기 6월 분홍색 · 자주색 · 흰색 채취시기 가을철 ▶형태 지치는 지치과의 여러해살이로 줄기는 곧게 서고, 줄기와 잎은 털이 있고, 뿌리가 땅 속 깊이 들어가고, 굵고 자주색,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7월에 회색으로 소견과로 여문다. 예로부터 불로자생(不老長生)을 추구하는 도교에서 말하는 불로초는 지치이다. 지치는 예부터 산삼을 능가하는 약초로 잘 알려져 있다. 지치는 독(毒)을 해독하고 새살과 피를 돋게 하는 뛰어난 약초로 다른 이름으로 자초로도 불린다. ▶ 채취 1. 뿌리 2. 거울에 뿌리를 캐어 소주로 분무하며 칫솔로 흙을 제거한 후에 햇볕에 말려서 쓴다. ▶ 효소 만들기 .. 2022. 10.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