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133

[한반도약초] 도라지 - 효능 및 이용, 약리작용, 채취시기, 효소 학명 Platycodon grandiflorum 한약명 길경 다른 이름 백야, 경초, 이노 분포지 전국의 야산 양지바른 풀숲 초장 40~100cm 생육상 여러해살이 개화시기 7~8월 보라색이나 희색 채취시기 9~10월 ▶형태 뿌리는 다육질로 원주형 또는 가지가 갈라진다. 입은 거의 엽병이 없고 대생이며 난상피침형이다. 도라지는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로 꽃은 7~8월에 보라색이나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삭과로 여문다. ▶상징 도라지는 영원한 사랑과 남근을 상징한다. 도라지가 100년을 묵으면 그 약효가 산삼보다 낫다. 고 할정도로 백도라지를 최상품으로 친다. 민요 도라지 타령에 '심심산천에 백도라지, 한두 뿌리만 캐어도 대바구니가 반실만 되누나’ 라는 구절과, 노래에서 '도라지 도라지 백~ 도라지 하듯이, 심.. 2022. 10. 22.
[한반도약초] 생강(생강과) - 효능 및 이용, 채취시기, 약리작용, 효소만들기 학명 Zingiber officinale Rose 학약명 생강 다른 이름 건강 분포지 남부 지방, 고온 다습한 비옥한 지역 초장 30~50cm 생육상 여러해 살이 개화시기 8~9월 황색 채취시기 가을 ▶형태 생강은 생강과의 여러 해 살이로 잎은 선상 피침형이며 밑부분은 긴 엽초이고, 생강은 생강과의 여러해살이로 꽃은 8~9월에 황색으로 피고, 꽃대는 드물게 나며 높이는 20~30cm이다. ▶ 채취 1. 뿌리줄기 2. 가을에 뿌리줄기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쓴다. ▶ 효소 만들기 가을에 생강 뿌리를 녹즙기에 갈거나 절구에 빻아서 항아리에 넣고 황설탕으로 만든 시럽이나 황설탕 30%를 재어 밀봉하여 100일 동안 발효시킨 후에 3개월~1년 이상 숙성시킨 후 효소 1에 생수 5를 희 석해서 먹는다. ▶ 식용.. 2022. 10. 22.
[한반도약초] 부처손(부처손과) - 효능 및 이용, 채취, 약리작용 한약명 권백 다른 이름 장생불사초, 불로초, 불사초 분포지 전국 산지의 바위 곁이나 암벽 초장 20cm정도 생육상 늘푸른 여러해 살이 개화 시기 포자 식물로 꽃이 없음 채취 시기 1년 내내 ▶형태 부처손은 부처손과의 늘푸른여러해살이로 포자낭수는 작은 가지 끝에 1개씩 달리고, 비늘 조각 같은 잎이 4줄로 늘어서 있고, 포자엽은 달걀 모양 삼각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가는 뿌리가 서로 엉켜 실타래처럼 생김. 밑동에서 줄기가 나온다. ▶ 채취 1. 전초·줄기·뿌리. 2. 가을에 전초를 채취하여 그늘에 말려서 쓴다. ▶ 효소 만들기 가을에 잎·줄기·뿌리를 몸째로 채취하여 항아리에 넣고 황설탕으로 만든 시럽이나 황설탕 30~80%를 넣고 밀봉하여 100일 동안 발효시킨 후에 3개월~1년 이상 숙성시킨 후.. 2022. 10. 21.
[한반도약초] 와송(돌나물과) - 효능 및 이용, 채취시기, 효소만들기 한약명 와송 다른이름 바위솔 지붕지기 · 옥상무근오 · 와상 · 와연화 분포지 제주 ·경남·경북·강원·바닷가의 바위·지붕 위 초장 30cm 이상 생육상 여러해살이 개화 시기 9월 백색 채취 시기 가을 ▶형태 육질이 있고, 잎은 다닥다닥 달리며 잎자루가 없다. 와송은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로 꽃은 9월에 백색으로 피고 꽃받침은 5개로 연녹색이다. 꽃밥은 적자색이다. ▶ 채취 1. 전초·줄기·뿌리 2. 가을에 전초를 채취하여 그늘에 말려서 쓴다. ▶ 효소 만들기 가을에 와송의 잎·줄기·뿌리를 몸째로 채취하여 항아리에 넣고 황설탕으로 만든 시럽이나 황설탕 30~80%에 재어 밀봉하여 100일 동안 발효시킨 후에 3개월~1년 이상 숙성시킨 후 효소 1에 생수 5를 희석해서 먹는다. ▶ 식용 와송을 통째로 채취하여.. 2022. 10. 21.
[한반도약초] 칡(콩과) - 채취시기, 효능 및 이용, 약리작용 한약명 갈근(葛根) 다른 이름 칡덩굴·갈마 · 곡불히 · 달근 분포지 전국의 산기슭 양지 생육상 갈잎덩굴나무 개화시기 8월 홍자색 채취 시기 뿌리는 3월, 꽃은 8월 인체의 세포질 속에는 수천 가지의 단백질을 만들어 내는 공장 역할을 하는 '리보솜' 이 생명이 다할 때까지 효소를 만들어 낸다. 산소의 운반, 단백질의 분해, 탄수화물의 분해, 비타민과 미네랄이 세포 속에까지 흡수될 수 있도록 작용하는 것도 효소이고, 이들을 이용하여 에너지로 만드는 것은 물론 몸에 해로운 물질을 제거하고 병든 세포를 분해하여 처리하는 것도 효소이다. 새로운 생성 세포도 효소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형태 칡은 콩과의 갈잎덩굴 나무로 꽃은 8월에 잎 겨드랑이에서 총상 꽃 차례 홍자색으로 꽃이 피고, 열매는 9~10월 에 콩 꼬.. 2022. 10. 21.
[한반도나무] 마가목 - 채취, 효능 및 이용, 약리 작용, 효소 만들기 한약명 천산화추 분포지 중부 이남 지방 및 강원도 깊은 산 숲속 초장 6~8m 정도 생육상 갈잎 작은큰나무 개화시기 5~6월 노란색 채취시기 가을 ▶상징 이른 봄에 새싹이 눈을 틔우려고 할 때 마가목의 모습이 말굽, 줄기 껍질이 말가죽을 닮아 마가목이라 부른다. ▶형태 잎은 가장자리에 톱니 모양, 마가목은 장미과에 속하는 갈잎 작은 크기 나무로 꽃은 5~6월에 백색으로 피 고, 열매는 10월에 붉은색 이과로 여문다. ▶ 채취 1. 꽃·잎·줄기·뿌리껍질 · 열매. 2. 봄에 신선한 잎을 채취하여 그늘에, 가을에 줄기껍질과 성숙된 붉은 열매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 려서 쓴다. ▶ 효소 만들기 가을에 빨갛게 익은 열매를 항아리에 넣고 황설탕으로 만든 시럽이나 황설탕에 70%를 재어 밀봉하여 100일 동안 발효시.. 2022. 10. 20.
[한반도약초] 산사나무(장미과) - 효능 및 이용, 채취시기, 효소만들기 학명 Crataegus pinnatitida Bunge 한약명 산사 다른 이름 다그 산사자 · 산조홍 · 홍자과 야광나무 · 동배 · 뚱광나무 · 이광나무 · 아가위나무 분포지 전국의 산 기슭이나 마을 근처 초장 5m 정도 생육상 갈잎큰키나무 개화 시기 5월 흰색 채취 시기 9~10월 ▶상징 가을에 산사나무의 열매는 붉은 태양처럼 보이기 때문에 '해 뜨는 모양' 이라는 애칭이 있고, 서양에서는 산사나무를 '벼락을 막아 준다' 고 해서 '호손(hawthron)', 5월을 대표하는 나무라 하여 '메이(may)' 라 하여 1620년 청교도들이 아메리카 신대륙으로 메이플라워(the may flower) 호를 타고 간 이유는 산사나무가 벼락을 막아 해상에서 새 터 배를 보호해 줄 것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어 .. 2022. 10. 20.
[한반도나무] 꾸지뽕 - 효능 및 이용, 채취시기, 효소만들기 한약명 : 자목, 자목백피 다른 이름 : 돌뽕나무 ·활뽕나무 · 가시나무 · 상자 · 자황 분포지 : 전국의 산기슭 초장 : 10m · 생육상 : 갈잎작은큰키나무 개화 시기: 5~6월, 연한 황색 채취 시기 : 가을 ▶상징 꾸지뽕나무로 기른 누에고치에서 얻은 명주실로 거문고 줄을 만들면 그 소리가 맑아 최고의 가치로 인정 된다. ▶형태 가지 줄기에 굵고 긴 가시가 있고, 프 3갈래 혹은 밋밋하다. 꾸지뽕나무는 뽕나무과의 갈잎 작은큰키나무로 꽃은 암수 루로 5~6월에 연한 황색으로 피고, 열매는 9~10월에 수과로 둥글게 붉은색으로 여문다. ▶ 채취 1. 잎·줄기·열매 뿌리 2. 부위별로 목질부·뿌리껍질·잎·줄기를 채취하여 그늘에 말려서 쓴다. ▶ 효소 만들기 봄에는 잎을, 가을에는 잘 익은 성숙된 열매를.. 2022. 10. 19.
[약초] 하수오(여뀌과) - 재취, 이용 및 효능, 약리작용, 효소만들기 한약명: 적하수오 · 백하수오 다른 이름: 수오. 지정. 진지백. 마간석. 은조롱. 진지백. 산웅.산정.야합 분포지 : 백하수오는 내륙 능선이나 산비탈, 적하수오는 남쪽의 섬 지방, 농장 재배도가 능하다. 초장: 1~3m(덩굴 식물) 생육상: 덩굴성 여러해살이 개화 시기: 8~9월 흰색 채취 시기: 가을~ 봄 중국에서 대표적인 3대 약초는 '인삼· 구기자·하수오' 이다. 향약집성방 에서 '하수오'를 먹고 신선이 되는 방법이 나온다. 중국의 하수오라는 사람이 하수오를 먹고 흰머리가 검게 되고 160살까지 살았다는 전설이 있다. ▶형태 하수오는 여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 잎은 어긋나고 하트 모양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함, 줄기나 잎을 자르면 하얀 즙이 나온다. 뿌리는 땅속으로 뻗으며, 둥근 괴근(塊)을 형성, 잎.. 2022. 10. 19.
[한반도약초] 함초 - 채취, 효능 및 이용, 약리작용 학명 : Salicornia europaea 한약명 : 퉁퉁마디(域草) 다른 이름 : 신조 · 복초 · 염초 분포지 : 경기 강화 · 전남 해남 · 신안군, 전북 부안 서해, 남해 해안 지대 갯벌 초장 : 10~30cm 이상 생육상 : 여러해살이 개화 시기 : 8~9월 녹색 채취 시기 : 6~10월 함초는 우리말로는 '퉁퉁마디' 라 부른다. 중국의 『신농본초경에서 신령스러운 풀로, 일본의 동의보감이라고 할 수 있는 『대화 본초』 에서는 신초 · 복초· 염초로 기록되어 있다. 일본에서는 1921년에에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를 하고 해마다 일본의 홋카이도 아바시리 함초 축제를 42년째 열리고 있으며, 1986년 방문한 이후 붉은 비단을 펼쳐 놓은 장관을 구경하기 위해 20만 명의 관광객이 찾는다. 프랑스.. 2022. 10. 19.
[한반도약초] 꿀풀- 효능 및 이용, 채취시기와 약용 한약명 : 하고초 다른 이름 : 연면 내동 · 동풍 · 철색초 · 맥하초 · 근골초 · 등룡두 분포지 : 전국의 들과 산기슭 양지 초장 : 30cm 정도 생육상 : 여러해살이 개화 시기 : 5~7월, 붉은빛을 띤 보라색 채취 시기 : 봄~ 여름 꽃 중에서 '꿀' 자가 들어간 것은 '꿀풀'뿐이다. 꿀풀은 방망이처럼 생긴 꽃 차례에 꽃이 빽빽이 달려 있어 '꿀방망이'라는 애칭과 꽃이 입술 모양을 닮았다 하여 '순형 화관'이라 부른다. 형태 꿀풀은 꿀풀과의 여 러해살이로 꿀풀 전체에 짧은 털이 있고, 꽃이 줄기 위에 조밀하게 짧은 원기둥 모양으로 줄기는 방형(方形)이며 곧게 서 있고 꽃은 줄기 위에 5~7월에 붉은 자주색으로 피고 열매는 황갈색 분과로 여문다. 채취 1. 꽃 • 꽃봉오리 · 전초·줄기·뿌리. .. 2022. 10. 19.
[한반도약초] 효소란, 효소 만드는 방법 1. 효소란 산과 들에서 나는 재료인 새싹·전초(잎) · 열매껍질·뿌리 등을 채취하여 황설탕에 재어 100일 정 도 발효시킨 후 일정 기간 숙성시킨 것을 말한다. 산야초 한 가지나 100가지 이상을 항아리에 넣고 황설탕으로 시럽이나 황설탕에 재어 100일 정도 발효시킨 후에 3개월~1년 이상 숙성시켜 효소 1에 생수(찬물) 5를 희석하여 먹는다. 효소는 한 가지 재료만을 사용해야 하는 것도 있고, 다른 산야초와 쑥· 민들레 · 머루·취·소엽당귀 · 오미자 · 더덕 · 도라지 · 독활· 오디+ 돌미나리 · 돌복숭아 · 돌배처럼 배합해도 되는 것도 있다. 2. 효소는 열에 약하다. 효소는 음식물의 분해·흡수·배출 같은 신진대사를 돕는 촉매 역할을 통해 생명을 유지시켜 주기 때문에 생명의 근원이 된다. 식물 .. 2022. 10. 1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