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약초] 인동덩굴 - 효능 및 약효, 약리작용, 효소만들기
한약명 금은화 다른이름 인동, 은화, 금화, 이화, 은화자 분포지 전국의 산과 들 개화시기 6~7월 흰색, 노란색 채취시기 6~7월 개화시 많은 날에 이슬이 마른후에 채취 ▶ 형태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1~2송이씩 붙고, 가지 끝에서 밀생, 인동덩굴 은 덩굴성 갈잎떨기나무로 꽃은 6~7월에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9~10월에 흑색 장과가 여문다. ▶ 상징 인동덩굴은 추운 겨울에도 잘 견디기 때문에 '인동초' 로 부르고, 흰꽃이 노란 꽃으로 변하기 때문에 '금은화’으로 부른다. ▶ 채취 1. 꽃봉오리·꽃·잎·경엽·줄기·과실·뿌리. 2. 줄기는 수시로, 꽃은 6월에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려서 쓴다. ▶ 효소 만들기 봄~ 여름까지 금은화 전체를 채취하여 물에 씻고 물기를 뺀 다음 항아리에 넣고 황설탕으로 만든 시럽..
2022. 11. 16.
[한반도약초] 고삼 - 효능 및 약효, 채취시기, 약리작용
한약명 고삼 다른이름 느삼, 너삼, 천삼, 지괴, 수괴, 고신, 도둑놈의 지팡이 분포지 전국의 깊은 산기슭 개화시기 6~8월, 담황백색 채취시기 가을부터 이듬해 봄 ▶ 형태 잎은 버들잎 모양의 쪽잎이 6~8쌍 모인 기수우수상 복엽이다. 고삼은 콩과의 여러해살이로 꽃은 6~8월에나 비 모양으로 담황백 노란색으로 피고 열매는 좁은 원추형 협과로 여문다. ▶ 상징 고삼은 ‘도둑놈의 지팡이 뿌리' 라는 애칭이 있고, 고삼은 맛이 쓰기 때문에 인삼과 같은 효과가 있어 고 부르고 다른 이름으로 너삼' 으로 부른다. ▶ 채취 1. 뿌리 2. 가을~겨울에 뿌리를 수시로 캐어 껍질을 벗겨 햇빛에 말려서 쓴다. ▶ 효소 만들기 겨울에 고삼 뿌리를 캐어 떡국의 떡 크기로 썰어 황설탕에 버무려 항아리에 넣어 두면 삼투압 작용..
2022. 11. 16.
[한반도약초] 차즈기(자소엽) - 효능 및 약효, 장아찌, 효소만들기, 채취시기
한약명 자소엽 다른이름 차조기, 자소, 적소, 홍자소, 소엽, 자소경 분포지 전국의 밭에서 재배 개화시기 8~9월 연한 자주색 채취시기 잎은 개화시, 씨앗은 가을 성숙시 ▶ 형태 줄기는 곧게 서고 단면이 사각형이며 향기가 있음, 잎은 마주나고 깻잎과 비슷함, 차즈기는 꿀풀 과의 한해살이로 꽃은 8~9월에 총상화서 자주색으로 피고 열매는 분과로 둥글고 그물무늬가 있다. ▶ 채취 1. 잎· 종자 · 줄기 2. 가을에 잎과 열매를 채취하여 그늘에 말려서 쓴다. ▶ 효소 만들기 봄에 잎을 채취하여 항아리에 넣고 황설탕으로 만든 시럽이나 황설탕 30%를 넣고 밀봉하여 100일 동 안 발효시킨 후에 3개월~3년 동안 숙성시킨 후에 효소 1에 생수 5를 희석하여 먹는다. ▶ 식용 및 장아찌 만들기 1. 봄~ 여름에 ..
2022. 11. 16.
[한반도약초] 엉겅퀴 - 효능 및 약효, 채취시기, 효소만들기
한약명 대계 다른이름 자계, 호계, 마계, 야홍화, 산우방, 계각자 분포지 전국의 산과 들 개화시기 6~8월 자주색, 붉은색, 흰색 채취시기 전초는 개화기, 뿌리는 가을철 ▶ 형태 엉겅퀴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로 밑에는 털이 많고, 위쪽에는 흰털과 거미줄 같은 털이 있음,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고, 겹생엽보다 크다. 꽃은 6~월에 두상화서 자주색으로 피고, 열매는 7월에 줄기 자방의 맨 끝에 솜털 같은 관모로 수과로 여문다. ▶ 상징 엉겅퀴의 싹이 호랑이를 닮았다 하여 '대계’, 뿌리를 산에서 자라는 '산우엉이', 다른 이름으로 '야홍화'라 부른다. ▶ 채취 1. 전초·뿌리 2. 여름에 전초를 채취하여 그늘에, 가을에 뿌리를 캐어 햇볕에 말려서 쓴다. ▶ 효소 만들기 봄에 전초나 가을에 뿌리를 ..
2022. 11. 16.
[한반도약초] 차전자(질경이) - 효능 및 약효, 장아찌, 효소만들기, 채취시기
한약명 차전자 다른이름 질경이, 차전초, 부이, 마사, 길장구 분포지 전국의 길가나 들 개화시기 6~7월 흰색 채취시기 봄~여름 ▶ 형태 차전자는 질경이과의 한해살이로 꽃은 6~8월에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10월에 삭과가 여물고 검은색 씨앗이 들어 있다. ▶ 상징 차전자는 사람이 아무리 밟아도 다시 살아나는 생명력이 강한 약초이다. 예부터 우마차가 지나간 차 바퀴에 눌려도 잘 자란다 하여 차전초라는 애칭이 있고, 씨앗을 '차전자', 전초를 '차전', 다른 이름으로 '질경이' 로 부른다. ▶ 채취 1. 전초·뿌리·종자 2. 전초는 수시로 뜯어 그늘에, 뿌리는 가을부터 이듬해 봄까지 캐서 햇볕에 말려서 쓴다. 종자는 여름~가을에 채취하여쓴다. ▶ 효소 만들기 봄에 전초를 뜯어 물에 씻고 물기를 뺀 다음 항..
2022. 1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