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한반도 약초69

[한반도약초] 참당귀 - 효능 및 이용, 약리효과, 효소만들기 한약명 당귀 다른이름 토당귀, 문귀, 건귀, 대근, 상마, 지선원, 신감채, 승검초 분포지 전국의 깊은 산 속 개화시기 8~9월 자색 채취시기 가을~봄 ▶ 형태 참당귀는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로 꽃은 8~9월에 자주색으로 피고, 열매는 타원형의 분과로 여문다. ▶ 상징 당구를 먹으면 사랑하는 사람이 돌아온다'는 애칭을 가지고 있고, 사찰 주변에서 잘 자란다 하여 승암조, 어진 기혈(氣血)을 제자리로 돌아오게 한다고 하여 당귀' 라 부른다. ▶ 채취 1. 뿌리 2. 가을에 뿌리를 캐어 햇볕에 말려서 쓴다. ▶ 효소 만들기 봄에는 전초를, 가을에는 뿌리를 캐어 항아리에 넣고 황설탕으로 만든 시럽이나 황설탕 50%를 넣고 100일 동안 발효시킨 후에 3개월~1년 이상 숙성시킨 후 효소 1에 생수 5를 희석해서 .. 2022. 11. 8.
[한반도약초] 잔대 - 효능 및 이용, 효소만들기, 약리작용 한약명 상륙, 상륙화 다른이름 지니, 지도, 총수, 무학, 문호, 기상 분포지 전국의 각지 개화시기 7~9월 보라색 채취시기 가을 ▶형태 잔대는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로 꽃은 7~9월에 종 모양으로 원추화서 보라색으로 피고 열매는 가을에 꽃받침이 달린 채로 여문다. ▶ 약초 만들기 1. 전초 · 뿌리(식용 · 약용) 2. 가을에 큰 뿌리를 캐어 햇볕에 말려서 쓴다. ▶ 효소 만들기 봄에 새싹을 따서 항아리에 넣고 황설탕으로 만 든 시럽이나 황설탕 30%를 재어 밀봉하여 100 일 동안 발효시킨 후에 3개월~1년 이상 숙성시킨 후 효소 1에 생수 5를 희석해서 먹는다. ▶ 식용 및 장아찌 만들기 1. 봄에 어린순과 줄기를 채취하여 끓는 물에 살짝 데쳐서 나물로 무쳐 먹는다. 2. 가을에 뿌리를 캐서 껍질을 .. 2022. 11. 8.
[한반도약초] 왕머루 - 효능 및 이용, 약리작용, 효소만들기 한약명 사등등앙 다른이름 산포도, 조선산포도, 머루, 모래순, 왕머루 분포지 전국의 산기슭 및 산골짜기 개화시기 5~6월 황록색 채취시기 9~10월 ▶ 형태 왕머루 포도과의 갈잎덩굴나무로 잎은 호생, 심장상 원형, 끝이 뾰쪽하며, 꽃은 암수 다른 그루, 잎자루 끝에 덩굴손이 발 달, 꽃은 5~6월에 황록색으로 피고, 열매는 9~10월에 포도처럼 장과가 흑색으로 여문다. 2~3개의 씨앗이 들어 있다. ▶ 채취 1. 열매(식용) · 뿌리와 덩굴 2. 가을에 뿌리를 캐어 햇볕에 말려서 쓴다. ▶ 효소 만들기 늦은 여름에 검게 잘 익은 머루 열매를 항아리에 넣고 황설탕으로 만든 시럽이나 황설탕 80%를 재어 밀봉하여 100일 동안 발효시킨 후에 3개월~1년 이상 숙성된 효소 1에 생수 5를 희석해서 먹는다. ▶.. 2022. 11. 8.
[한반도약초] 삽주 - 효능 및 이용, 효소만들기, 약리작용 한약명 창출(蒼龍) · 백출(白朮) 다른이름 창두채 · 복창출 · 천생출 · 동출 · 산연·백출· 적출 · 창두초 · 산계 분포지 전국의 산과 들 개화시기 7~10월 흰색, 붉은색 채취시기 9~10월 ▶형태 삽주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로 꽃은 7~10월에 흰색이나 붉은색의 두상화로 피고, 열매는 9~10월에 갈색의 관모로 수과가 여문다. ▶ 채취 1. 뿌리(근경) · 어린 둥근 뿌리.. 2. 가을에 뿌리를 캐어 햇볕에서 말려서 쓴다. ▶ 효소 만들기 봄~가을에 삽주 새싹이나 뿌리를 캐어 항아리에 넣고 황설탕으로 만든 시럽이나 황설탕 30%를 재어 밀봉하여 100일 동안 발효시키고, 3개월~1년 동안 숙성시킨 후 효소 1에 생수 5를 희석하여 먹는다. ▶ 식용 봄에 부드러운 잎을 뜯어 쌈으로 먹거나 끓은 물.. 2022. 11. 8.
[한반도약초] 독활(땅두릅) - 효능 및 이용, 효소만들기, 약리작용 한약명 독활 다른이름 땃두릅, 땅두릅, 독골, 강청, 독요초 분포지 전국의 산지 개화시기 7~8월 연한 자주색 채취시기 9~10월 ▶형태 독활은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로 꽃 은 7~8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피고 열매는 9~10월에 흑색의 핵과로 여문다. ▶ 채취 1. 뿌리. 2. 가을에 뿌리를 수시로 캐어 햇볕에 말려서 쓴다. ▶ 효소 만들기 가을에 뿌리 전체를 물로 씻고 항아리에 넣고 황설탕으로 만든 시럽이나 황설탕 50%를 재어 밀봉하여 100 동안 발효시킨 후에 3개월~1년 이상 숙성시킨 후에 효소 1에 생수 5를 희석해서 먹는다. ▶ 식용 1. 봄에 어린순을 끓는 물에 살짝 데쳐 된장이나 초고추장에 찍어 먹는다. 2. 봄부터 가을까지 잎과 줄기를 채취하여 그늘에 말려서 묵나물로 먹는다. ▶ 이용 및.. 2022. 11. 7.
[한반도약초] 더덕 - 효능 및 이용, 채취시기, 장아찌, 효소만들기 한약명 산해라 다른이름 사삼 · 백삼 · 노삼 · 산해라(山海眼) · 지황 · 통유초 · 산해라 · 행엽채근 · 행엽 · 행엽채 분포지 전국의 숲속 개화시기 8~9월 연한 겉은 녹색, 속은 자갈색 반점 채취시기 10월 ▶ 형태 더덕은 초롱꽃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로 8~9월에 연한 녹색으로 꽃이 피고 화관 끝에 안쪽으로 자갈색 반점이 있고 짧은 가지 끝에 밑을 향해 달려 있다. 11월에 삭과가 여물며, 꽃받침 그대로 남아 삭과 속에 씨앗이 들어 있다. ▶ 상징 더덕은 산삼의 사촌이라는 애칭을 가지고 있고, 모래가 많은 땅에서 자란다고 하여 모래 사(沙)’자를 써서 '사삼 (沙蔘)', 양각(羊角)', 뿌리를 삼의 일종인 만산이라 부른다. 더덕은 깊은 산속 그늘진 곳에서 사성 때문에 벌이나 나비 같은 곤충을 .. 2022. 11. 7.
[한반도약초] 복분자 - 효능 및 이용, 채취시기, 약리작용, 효소만들기 한약명 복분자(覆盆子) 다른이름 산딸기 · 곰딸 · 복분자딸기 분포지 중부 남부 지방 이남 산기슭 초장 1.5m 생육상 갈잎떨기나무 개화시기 5~6월 연한 분홍색 채취시기 7~8월 ▶형태 잎은 깃 모양의 겹잎, 줄기는 자줏빛이 돌며 갈고리 같은 가시가 있다. 복분자딸기는 장미과의 갈잎떨기나무로 높이 는 3m 정도까지 자라고 굽은 가지에 가시가 촘촘히 돋고, 꽃은 5~6월에 연한 분홍색으로 피고 열매는 7~8월에 둥글고 적색으로 익지만 나중에는 흑색으로 여문다. 전통 의서에서 산딸기인 복분자를 '성인이 먹으면 오줌줄기가 세어져 요강이 엎어진다' 하여 엎어질 복(復)과 요강 분 (益)' 이 합쳐 복분자(覆盆子)라 부른다. 고창 선운사 앞 하천에서 잡히는 자연산 풍천장어와 함께 먹으면 좋다. ▶ 채취 1. 꽃.. 2022. 10. 26.
[한반도약초] 블루베리 - 효능 및 이용, 효소만들기, 약리작용 학명 Vaccinium 외국명 blueberry 다른이름 이부시블루베리(hiohbush blueberry) , 로부시블루베리(Lowbush blueberry), 크랜베리(cranberry) 분포지 중부이남 산지와 들 초장 30cm~5m 생육상 여러해살이 개화시기 4~5월(흰색) 채취시기 여름~가을 ▶형태 블루베리는 진달래과의 여러 해 살이로 꽃은 4~5월에 작은 종 모양의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여름부터 가을까지 구형으로 표면에 회백색으로 덮고 진한 흑청색으로 여문다. ▶ 채취 1. 열매 2. 여름부터 가을까지 열매를 따서 햇볕에 말려서 쓴다. ▶ 효소 만들기 여름~가을까지 진한 흑청색으로 잘 익은 성숙된 열매를 따서 항아리에 넣고 황설탕으로 만든 시럽이 나 황설탕 50%를 넣고 밀봉하여 100일 동안 발.. 2022. 10. 24.
[한반도약초] 오미자 - 효능 및 이용, 효소만들기, 약리작용 한약명 오미자(五味子) 다른이름 문합 · 현급 · 북미 · 금령자 홍대소 · 오매자 · 북오미자 분포지 중부 지방 산지의 경사면, 남부 지방과 섬(남오미자), 제주도(흑오미자) 초장 5~8m 생육상 여러해살이 개화기시 6~7월 황백색 채취시기 9월 ▶형태 오미자는 목련과의 여러해살이로 꽃은 6~7월에 붉은빛이 도는 황백색으로 피고, 열 매는 9월에 작은 입자의 작은 구형으로 20~30개 낱알이 한 송이에 장과로 여문다. ▶ 채취 1. 잎·줄기 · 열매 · 뿌리. 2. 여름에 잎과 줄기를 채취하여 그늘에, 가을~겨울에 성숙된 잘 익은 열매를 따서, 뿌리를 캐어 햇볕에 말려서 쓴다. ▶ 효소 만들기 1. 붉은색으로 성숙된 열매를 항아리에 넣고 황설탕으로 만든 시럽이나 황설탕 100%를 항아리에 재 어 밀봉하.. 2022. 10. 24.
[한반도약초] 가시오갈피(오가피) - 효능 및 이용, 채취시기, 효소만들기 한약명 오가피, 자오가근 다른이름 자오가, 가시오가피 분포지 전국의 깊은 산 초장 3~5m 생육상 갈잎떨기나무 개화시기 4 월, 자황색 채취시기 4월(새순) · 10월(열매) 수시(뿌리) ▶ 형태 가시오갈피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갈잎떨기나무로 높이는 약 3~4m 정도까지 자라고, 가지에 가시가 있고, 꽃은 가지 끝에 산형 화서로 4월에 자황색으로 작은 꽃들이 공처럼 꽃이 꽃자루가 갈라지는 곳에 꿀샘이 있다. 열매는 핵과 장과 둥근 모양으로 10월에 콩알만 한 작은 구형이 검은색으로 여문다. ▶ 채취 1. 꽃·잎·줄기 · 열매 · 뿌리 2. 봄에 전초, 가을에 열매, 줄기는 수시, 뿌리를 캐어 물로 씻고 햇볕에 말려서 쓴다. ▶ 효소 만들기 봄에 전초를 채취하고, 가을에 검은색으 로 익은 열매를 따서 항아.. 2022. 10. 24.
[한반도약초] 지치(자초) - 효능 및 이용, 약리작용, 채취, 효소만들기 한약명 자초(紫草) 다른이름 칙금잔 · 촉기근 분포지 전국의 들과 길가 초장 2m 정도 생육상 여러해살이 개화시기 6월 분홍색 · 자주색 · 흰색 채취시기 가을철 ▶형태 지치는 지치과의 여러해살이로 줄기는 곧게 서고, 줄기와 잎은 털이 있고, 뿌리가 땅 속 깊이 들어가고, 굵고 자주색,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7월에 회색으로 소견과로 여문다. 예로부터 불로자생(不老長生)을 추구하는 도교에서 말하는 불로초는 지치이다. 지치는 예부터 산삼을 능가하는 약초로 잘 알려져 있다. 지치는 독(毒)을 해독하고 새살과 피를 돋게 하는 뛰어난 약초로 다른 이름으로 자초로도 불린다. ▶ 채취 1. 뿌리 2. 거울에 뿌리를 캐어 소주로 분무하며 칫솔로 흙을 제거한 후에 햇볕에 말려서 쓴다. ▶ 효소 만들기 .. 2022. 10. 22.
[한반도약초] 도라지 - 효능 및 이용, 약리작용, 채취시기, 효소 학명 Platycodon grandiflorum 한약명 길경 다른 이름 백야, 경초, 이노 분포지 전국의 야산 양지바른 풀숲 초장 40~100cm 생육상 여러해살이 개화시기 7~8월 보라색이나 희색 채취시기 9~10월 ▶형태 뿌리는 다육질로 원주형 또는 가지가 갈라진다. 입은 거의 엽병이 없고 대생이며 난상피침형이다. 도라지는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로 꽃은 7~8월에 보라색이나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삭과로 여문다. ▶상징 도라지는 영원한 사랑과 남근을 상징한다. 도라지가 100년을 묵으면 그 약효가 산삼보다 낫다. 고 할정도로 백도라지를 최상품으로 친다. 민요 도라지 타령에 '심심산천에 백도라지, 한두 뿌리만 캐어도 대바구니가 반실만 되누나’ 라는 구절과, 노래에서 '도라지 도라지 백~ 도라지 하듯이, 심.. 2022. 10. 22.
728x90
반응형